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change(변화)와 상업정책론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26 20:44
본문
Download : 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변화와 상업정책론.hwp
상품유통론자들에 의해 제시된 동전유통방안(方案)은 김신국이 주도해 작성된 상평청의 행전절목에 의해 종합되어 나타난다.
순서
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change(변화)와 상업정책론
다.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 그리고 선조 36년에 호조판서 성영이 다시 동전주조 문제를 제기했을 때, 적극적으로 이를 지지해 조정이 논의를 주도한 바도 있었다.,인문사회,레포트
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change(변화)와 상업정책론
Ⅰ. 머 리 말 1
Ⅱ. 임진왜난 이후 국가재정이 파탄과 운영변화 2
Ⅲ. 상업관의 변화와 상품유통진흥론 5
1. 무본보말론의 대두 5
2. 상품유통진흥논의 전개 9
Ⅳ. 상업정책론과 그 성격 13
1. 염전매론 13
2. 공물작미론 16
3. 동전주조유통론 19
Ⅴ. 맺 음 말 23
- - 國史館論叢 第68輯
16世紀 末~17世紀 初 商業觀의 變化와 商業政策論 - -
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동전주조에 대해 가장 열성적인 인물은 이덕형과 김신국이었다. 김신국은 이덕형의 주장을 계승하여 광해, 인조년간에 동전유통론을 주도하여 실행시킨 바 있었다. 16세기말∼17세기초상 , 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변화와 상업정책론인문사회레포트 ,
Download : 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변화와 상업정책론.hwp( 52 )
16세기말∼17세기초상
설명
에 대한 資料입니다.
첫째, 민간에서 동전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 시정에 별도로 전시를 설치하게 할 것. 둘째, 각사 각아문이 속가로 징수하는 작지는 반드시 전문으로 징봉할 것. 셋째, government 각 아문이 시상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 시탄, 소채 등 사소한 물건에서부터 동전을 사용하여 무역할 것. 넷째, 도성과 외방에 동전을 사용해 물건을 구입할 수…(투비컨티뉴드 )






레포트/인문사회
16세기 말~17세기 초 상업관의 변화와 상업정책론에 대한 자료입니다. 이덕형은 선조 31년 명나라 장수 양호의 권유에 따라 조정에서 동전주조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, 김수와 더불어 유통절목을 작성한 인물이다.